맨위로가기

펜티엄 M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펜티엄 M은 인텔에서 개발한 모바일 프로세서로, 2003년 출시된 Banias 코어를 시작으로 Dothan 코어 등을 거치며 발전했다. P6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Micro-OPs Fusion, 향상된 분기 예측, 스택 포인터 조작 전용 하드웨어 등의 특징을 갖췄다. Banias는 130nm 공정, Dothan은 90n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1.0GHz에서 2.26GHz까지 다양한 클럭 속도의 모델이 출시되었다. 펜티엄 M은 저전력 설계와 높은 성능으로 모바일 시장에서 주목받았으며, 이후 코어 듀오와 코어 솔로 프로세서로 계승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80386
    인텔 80386은 1985년 출시된 x86 아키텍처의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온칩 메모리 관리 장치, 3단계 파이프라인, 세 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며, 개인용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생산 및 지원이 중단되었고, 32비트 명령어 집합은 현대 x86 아키텍처의 기반이 되었다.
  • 인텔의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4004
    인텔 4004는 1971년 인텔에서 출시된 세계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하나이며, 4비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계산기 라인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컴퓨터 소형화와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 기여했다.
  • 인텔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80386
    인텔 80386은 1985년 출시된 x86 아키텍처의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온칩 메모리 관리 장치, 3단계 파이프라인, 세 가지 동작 모드를 제공하며, 개인용 컴퓨터와 임베디드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생산 및 지원이 중단되었고, 32비트 명령어 집합은 현대 x86 아키텍처의 기반이 되었다.
  • 인텔 x86 마이크로프로세서 - 인텔 4004
    인텔 4004는 1971년 인텔에서 출시된 세계 최초의 상용 마이크로프로세서 중 하나이며, 4비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계산기 라인에 탑재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컴퓨터 소형화와 개인용 컴퓨터 시대에 기여했다.
펜티엄 M
개요
이름펜티엄 M
오리지널 로고 (2003–2006)
제조 시작일2003년 3월 12일
제조 종료일2009년 7월 14일
최저 속도900 MHz
최고 속도2.26 GHz
최저 FSB400 MT/s
최고 FSB533 MT/s
제조사인텔
코어배니어스
도선
최소 공정90 nm
최대 공정0.13 μm
아키텍처x86-16
IA-32
마이크로아키텍처P6
소켓소켓 479
코어 수1
이전 프로세서펜티엄 4 M
다음 프로세서인텔 코어 (요나)
스틸리
지원 상태지원 중단
확장 기능MMX
SSE
SSE2
EIST
XD bit
코드배니어스: 80535
도선: 80536
L2 캐시1 MB 또는 2 MB (공유)
L1 캐시64 KB (32 KB 데이터 + 32 KB 명령어)
판매자인텔
설계 회사인텔
주소 폭36 비트
트랜지스터 수배니어스: 7700만 개
도선: 1억 4000만 개
적용 분야모바일
CPUID695h (배니어스)
0x6DX (도선)
파생 모델셀러론 M
데이터 폭64 비트
가상 주소 폭32 비트
패키지마이크로 핀 그리드 배열 (mPGA)
고성능 볼 그리드 배열 (H-PBGA)

2. 역사적 배경

펜티엄 M은 인텔의 새로운 모바일 전용 프로세서 설계로, 펜티엄 4의 저전력 버전이 아닌 펜티엄 III의 튜알라틴 디자인을 대폭 수정한 것이다. 이는 펜티엄 II 코어 디자인을 기반으로 하며, 펜티엄 프로를 개선한 것이다. 펜티엄 M은 전력 효율에 최적화되어 노트북 컴퓨터의 배터리 수명을 늘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데스크톱 프로세서보다 낮은 전력 소비와 발열을 가지면서도, 펜티엄 4-M보다 낮은 클럭 속도에서 비슷한 성능을 보였다. 예를 들어, 1.6GHz 펜티엄 M은 2.4GHz 펜티엄 4-M과 유사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제공했다.[4] 펜티엄 M 740은 약 7,400 MIPS 및 3.9 GFLOPS(SSE2 사용)의 성능을 보였다.[5]

펜티엄 M은 펜티엄 III의 실행 코어, 펜티엄 4 호환 버스 인터페이스, 개선된 명령 디코딩/발행 프런트 엔드, 향상된 분기 예측, SSE2 지원, 그리고 더 큰 캐시를 결합했다. 2차 캐시는 접근되는 부분만 켜는 방식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줄였다. 대용량 캐시는 프로세서가 캐시의 상당 부분을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성능 향상에 기여했다.

전력 절감을 위한 추가적인 기능으로는 SpeedStep 3 기술이 있다. 이는 시스템이 유휴 상태일 때 클럭 속도를 조절하여 에너지를 절약하는 기술로, 1.6GHz 펜티엄 M은 600MHz, 800MHz, 1000MHz, 1200MHz, 1400MHz, 1600MHz의 다양한 클럭 속도로 작동할 수 있었다. 펜티엄 M의 전력 요구 사항은 유휴 상태에서 5와트, 최대 부하 시 27와트까지 다양하여, 노트북 제조업체들이 더 작은 노트북에 펜티엄 M을 탑재할 수 있게 했다.

인텔은 펜티엄 M을 모바일 전용으로 판매했지만, AOpen, DFI, MSI 등의 마더보드 제조업체들은 펜티엄 M 호환 보드를 출시하여 비모바일 사용자, HTPC, 워크스테이션 및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활용할 수 있게 했다. ASUS는 Socket 478 펜티엄 4 프로세서용으로 설계된 일부 ASUS 마더보드에서 펜티엄 M을 사용할 수 있도록 CT-479 어댑터를 개발했다. Shuttle Inc.는 저전력 소비와 최소 냉각 시스템 소음을 특징으로 하는 펜티엄 M 데스크톱을 판매했다. 펜티엄 M은 저전력 소비 덕분에 팬리스 및 소형 임베디드 PC 설계가 가능하여 임베디드 시스템 제조업체에게도 인기가 있었다. 또한, 펜티엄 M은 언더볼팅에 매우 적합하여 Notebook Hardware Control 또는 RMClock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적인 전력 절감이 가능했다.

펜티엄 M(도선 코어)


노트 PC에 탑재를 전제로, 배터리 지속 시간(절전)과 고속 성능(처리 능력)의 양립을 목표로 설계되었다. 기존의 모바일용 CPU와 달리, 데스크톱 컴퓨터용 설계를 사용하는 대신 모바일 전용으로 설계된 최초의 인텔 CPU이다.

펜티엄 M, i855/i915 시리즈 칩셋, IEEE 802.11a/b/g 무선 LAN 칩 Intel PRO/Wireless,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XP 또는 리눅스 커널 2.4x 이후 소프트웨어의 조합은 '''인텔 센트리노'''(Centrino)'''모바일 기술'''로 불린다. 단, 이 세 가지 구성 요소가 모두 인텔 제품이어야 센트리노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데스크톱 컴퓨터에도 펜티엄 M이 탑재되었으며, 펜티엄 M 대응 마더보드도 판매되어 소형 및 저소음 데스크톱 컴퓨터를 조립할 수 있었다.

펜티엄 M은 IA-32의 64비트 확장 명령인 Intel 64를 지원하지 않는다.

인텔 펜티엄 M 프로세서 제품군
2003–2006 로고2006–2008 로고노트북
코드명프로세스출시일
Original Pentium M logo
Pentium M logo as of 2006
Banias
Dothan
(130 nm)
(90 nm)
2003년 3월
2004년 6월
인텔 펜티엄 M 프로세서 목록


2. 1. 바니아스(Banias)

배니어스 프로세서는 펜티엄 M의 초기 암호명으로, P6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6] 130nm 공정기술로 제조되었으며 900MHz에서 1.7GHz 클럭 주파수로 출시되었다. 400MT/s FSB를 사용하며 1MB L2 캐시를 제공한다. 코어의 열설계 전력(TDP)는 24.5와트이다. 배니어스의 CPUID는 0x69X이다.

Banias 코어를 탑재한 펜티엄 M 1.4/1M


펜티엄 M 1.4의 뒷면


M 라인은 원래 이스라엘에서 설계되었기 때문에,[6] 최초의 펜티엄 M은 골란 고원의 고대 유적지에서 이름을 따온 배니어스라는 코드명으로 식별되었다. 인텔 하이파 팀은 이전에 초기 P6 메모리 컨트롤러 설계를 기반으로 한 티므나의 메모리 컨트롤러 작업을 해왔으며, 인텔이 백업 모바일 CPU를 만들라는 긴급 프로젝트를 지시했을 때 P6 아키텍처에 대한 자세한 지식을 활용했다.[7] 제품 코드 80535가 부여되었으며, 처음에는 모델 번호 접미사가 없었지만 나중에 펜티엄 M 705로 식별되었다.

배니어스 제품군은 내부적으로 PAE를 지원하지만 CPUID 정보에서 PAE 지원 플래그를 표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부 운영 체제(주로 리눅스 배포판)는 해당 프로세서에서 부팅을 거부하는데, 이는 커널에 PAE 지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8] 'forcepae' 리눅스 부팅 옵션을 사용하면 이러한 경우에 PAE를 사용하여 리눅스를 부팅할 수 있다. 윈도우 8 이상 버전도 동일한 이유로 이러한 프로세서에서 부팅을 거부하며, 제대로 실행하려면 PAE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프로세서(및 CPUID 정보에서 PAE 지원 플래그가 활성화되지 않은 Dothan 제품군 프로세서)를 설치한 상태에서 부팅을 시도하면 부팅 과정 초기에 ntoskrnl.exe를 로드하려 할 때 오류 코드 0xc0000260 (UNSUPPORTED_PROCESSOR)과 함께 충돌이 발생한다.[9]

130nm 공정으로 제조되었으며, 펜티엄 4와 마찬가지로 SSE2를 지원한다. 중간부터 프로세서 넘버가 채용되어 700번대가 부여되었다. 절전 기술로 확장판 인텔 스피드스텝 기술(EIST)를 지원한다. 이는 과거 모바일 펜티엄 III-M에 탑재되었던 것을 더욱 확장시킨 것으로, 다단계의 동작 전압과 주파수로 작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Banias 표준 전압 버전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FSB2차 캐시EISTNX 비트소켓TDP(최저 주파수)
-1.30 GHz400MHz1MB×Socket47922W (-)
-1.40 GHz
7051.50 GHz24.5W (-)
-1.60 GHz
-1.70 GHz



;Banias 저전압 버전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FSB2차 캐시EISTNX 비트소켓TDP(최저 주파수)
-1.10 GHz400MHz1MB×Socket479-
-1.20 GHz-
7181.30 GHz12W (-)



;Banias 초저전압 버전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FSB2차 캐시EISTNX 비트소켓TDP(최저 주파수)
-0.90 GHz400MHz1MB×Socket479-
-1.00 GHz-
7131.10 GHz7W (-)


2. 2. 도선(Dothan)

도선 프로세서는 펜티엄 M의 기본 설계를 유지하면서도 90nm 공정 기술로 제조되어 성능이 향상되었다. L2 캐시 크기가 2MB로 두 배 증가했고, 다이 크기는 84mm², 트랜지스터 수는 약 1억 4천만 개이다. 열 설계 전력(TDP)은 21W로 감소했으며, 클럭 속도는 소폭 증가했다.[10][11]

펜티엄 M 730 (1.6 GHz)


도단 코어 펜티엄 M 730의 뒷면


2004년 5월 10일에 출시된 도선 펜티엄 M 프로세서(제품 코드 80536, CPUID 0x6DX)는 "프로세서 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되었는데, 이는 다양한 프로세서 간의 구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초기 모델은 400MT/s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를 가졌으며, 펜티엄 M 710 (1.4 GHz), 715 (1.5 GHz), 725 (1.6 GHz), 735 (1.7 GHz), 745 (1.8 GHz), 755 (2.0 GHz), 765 (2.1 GHz) 등이 있었다. 이 모델들은 모두 2MB L2 캐시와 21W의 TDP를 가졌다.

초기 도선 모델은 낮은 클럭 속도에서 전력 소비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실제 사용 환경에서 배터리 수명은 이전 모델과 큰 차이가 없었다. 성능 면에서는 이전 모델보다 약 10-20% 향상되었다.

2005년 1분기에는 '소노마' 칩셋과 함께 533 MT/s FSB와 NX 비트(XD)를 지원하는 개선된 도선 코어가 출시되었다. 또한, 물리 주소 확장(PAE) 지원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이전 버전에서 발생하던 운영체제 부팅 오류 문제를 해결했다. 이 개선된 도선 프로세서에는 730 (1.6 GHz), 740 (1.73 GHz), 750 (1.86 GHz), 760 (2.0 GHz), 770 (2.13 GHz), 780 (2.26 GHz) 등이 포함되며, TDP는 27W, L2 캐시는 2MB이다.

2005년 7월에는 780 (2.26 GHz)과 저전압 778 (1.60 GHz) 모델이 출시되었다. 도선 프로세서 라인은 1.0 GHz에서 2.26 GHz까지의 클럭 속도를 가진 모델을 포함하며, 저전압 및 초저전압 모델은 배터리 수명 향상과 발열 감소를 위해 설계되었다.

개량형(Dothan-533)은 2005년 1월 19일에 새로운 칩셋 Intel 915 시리즈와 함께 발표되었다. FSB가 400MHz에서 533MHz로 향상된 것 외에는 Dothan과 동일하다. "소노마(Sonoma)"라는 코드명으로 불린 제2세대 센트리노 플랫폼과 함께 사용된다.

발표된 칩셋 Intel 915 시리즈는 FSB533/400MHz를 지원하며, PCI Express와 DDR2 SDRAM을 사용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을 절감했다. 통합된 그래픽스 미디어 가속기 900(GMA 900)은 그래픽 성능을 향상시켰다.

; Dothan 표준 전압 버전 (FSB 400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최저 주파수)
7151.50 GHz2MB○(~600MHz)×Socket47921W (7.5W)
7251.60 GHz
725A
7351.70 GHz×
735A
7451.80 GHz×
745A
7552.00 GHz×
7652.10 GHz


  • 765는 Intel 공식 사이트에서 NX(XD)bit가 "예"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구현되지 않았다.


; Dothan-533 표준 전압 버전 (FSB 533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최저 주파수)
7301.60 GHz2MB○(~800MHz)Socket47927W (10.8W)
7401.73 GHz
7501.86 GHz
7602.00 GHz
7702.13 GHz
7802.26 GHz



; Dothan 저전압 버전 (FSB 400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최저 주파수)
7381.40 GHz2MB○(~600MHz)×-10W (7.5W)
7581.50 GHz
7781.60 GHz



; Dothan 초저전압 버전 (FSB 400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최저 주파수)
7231.00 GHz2MB○(~600MHz)×-5W ()
7331.10 GHz
733J
7531.20 GHz
7731.30 GHz


3. 설계 특징

펜티엄 M은 펜티엄 III의 P6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펜티엄 4의 기술을 접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프로세서이다. 주요 설계 특징은 다음과 같다.


  • 펜티엄 4 호환 버스 인터페이스: 펜티엄 III의 실행 코어와 펜티엄 4 호환 버스 인터페이스를 결합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였다.
  • 향상된 명령 디코딩/발행 프런트 엔드: 명령어 처리 효율을 개선하였다.
  • SSE2 지원: 펜티엄 4에 도입된 SSE2 명령어를 지원하여 멀티미디어 처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 대용량 캐시: 더 큰 L1, L2 캐시를 탑재하여 데이터 접근 속도를 높였다. 특히 L2 캐시는 접근되는 부분만 켜는 방식을 사용하여 전력 소비를 줄였다.[4]
  • Micro-OPs Fusion, 향상된 분기 예측, 스택 포인터 조작 전용 하드웨어: (하위 섹션에서 상세 설명)
  • 전력 관리: 펜티엄 M은 향상된 SpeedStep 기술(EIST)등을 통해 전력 효율을 높였다.(하위 섹션에서 상세 설명)


이 외에도 OOO 버퍼 증가, L1 명령 캐시와 데이터 캐시를 각각 2배(16KB→32KB)로 증가, TLB 용량 증가 등 많은 개선을 통해 이전 세대 P6 마이크로아키텍처에 비해 IPC(클럭당 명령어 처리 횟수)가 향상되었다.[12]

펜티엄 M은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처와 달리 클럭당 처리 성능을 중시하여 설계되었다. 넷버스트의 고클럭화 전략보다는 파이프라인 효율을 높이고, CPU 버스 주변을 고속화하여 병목 현상을 줄이는 방향으로 개발되었다. 그 결과, 펜티엄 M은 약 1.5배 클럭의 펜티엄 4에 필적하는 성능을 보였으며,[4] 저전력으로 인해 CPU 쿨러 소형화에도 기여했다.

3. 1. Micro-OPs Fusion

펜티엄 M 마이크로아키텍처의 가장 큰 특징은 Micro-OPs Fusion을 지원한다는 점이다. 이는 메모리 접근과 연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명령어처럼, 기존에는 디코더에서 2개의 μOP(마이크로 오퍼레이션)를 생성해야 했던 것을, 디코딩 시점에서 1개의 μOP로 처리하는 기술이다.[12] 예를 들어,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와 연산을 하는 경우, 기존에는 메모리 접근 μOP와 연산 μOP 두 개가 필요했지만, Fusion을 통해 하나의 μOP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Micro-OPs Fusion을 지원하는 펜티엄 M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기존에는 컴플렉스 디코더에서만 처리 가능했던 명령을 심플 디코더에서도 처리할 수 있어, 명령어 디코딩 대역폭이 향상된다.
  • 리네이밍 및 리타이어의 3μOPs/clk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 리오더 버퍼의 엔트리 소비를 억제한다.


이는 AMD가 Athlon(K7 마이크로아키텍처)에서 구현한 Macro-Op의 개념과 기본적으로 동일하다.[12] 다만, 펜티엄 M에서는 메모리 접근과 연산을 동시에 수행하는 x86 명령어 외에도 Micro-OPs Fusion이 작동할 기회가 더 많다. 예를 들어, 스토어 명령은 주소 계산 μOP와 스토어 데이터를 레지스터에서 읽어오는 μOP로 나누어 실행 유닛으로 보내는 방식이므로 Micro-OPs Fusion이 유효하다.

3. 2. 향상된 분기 예측

펜티엄 4에 탑재된 분기 예측기를 기반으로 루프 감지기 및 레지스터 간접 분기 예측을 지원한다.[12] 루프 감지기는 내부에 64바이트의 버퍼를 갖추고, 64바이트 이내의 명령열로 루프가 되는 분기를 감지하여 명령 페치를 중단하고 버퍼에서 명령을 공급할 수 있다.

3. 3. 스택 포인터 조작 전용 하드웨어

x86 명령어 집합에는 PUSH, POP, CALL, RET와 같이 스택 포인터를 조작하는 명령이 있는데, 이를 프론트 엔드에서 처리하기 위한 하드웨어(스택 엔진)가 추가되었다.[12] 펜티엄 M에서는 이러한 명령에 대해 스택 포인터를 더하거나 빼는 μOP는 생성되지 않고, 디코딩 단계 바로 뒤에 설치된 스택 엔진에 포함된 전용 가산기에서 처리된다. 따라서 PUSH나 POP 명령의 경우 디코더에서 생성되는 μOP는 메모리 접근(PUSH-스토어, POP-로드)의 μOP뿐이며, 백엔드의 실행 유닛 자원을 절약하는 데 기여한다. 스택 엔진은 스택 포인터에 대한 조작의 누적 차이를 기억하고, 레지스터(리오더 버퍼) 내의 실제 스택 포인터 값은 갱신하지 않으므로, 스택 포인터에 접근하는 μOP에 차이 정보를 더하여 올바른 유효 주소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 차이 정보를 추가할 수 없는 μOP를 만나면 레지스터 내의 스택 포인터를 갱신하는 내부 명령이 자동으로 삽입된다.

3. 4. 전력 관리

펜티엄 M은 전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러 기술을 사용했다. 그중 하나는 향상된 SpeedStep 기술(EIST)이다. 펜티엄 M은 이 기술을 통해 시스템이 유휴 상태일 때 클럭 속도와 코어 전압을 동적으로 낮춰 에너지를 절약한다.[4] 1.6GHz 펜티엄 M은 600MHz, 800MHz, 1000MHz, 1200MHz, 1400MHz, 1600MHz 등 다양한 클럭 속도로 작동할 수 있다.[4] 이러한 중간 클럭 상태는 CPU가 상황에 맞게 클럭 속도를 조절하여 전력 소비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

펜티엄 M의 전력 요구 사항은 유휴 상태에서 5와트, 최대 부하 시 27와트 수준이다.[4] 이는 노트북 제조업체가 펜티엄 M을 더 작은 노트북에 사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또한, 펜티엄 M은 언더볼팅에도 매우 잘 반응하여 추가적인 전력 절감이 가능하다.

4. 모델

펜티엄 M은 노트북 컴퓨터의 배터리 수명을 늘리기 위해 전력 효율에 최적화된 프로세서이다. 데스크톱 프로세서보다 낮은 클럭 속도로 작동하지만, 비슷한 성능을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1.6GHz 펜티엄 M은 2.4GHz 펜티엄 4-M과 비슷하거나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4]

펜티엄 M은 펜티엄 III의 실행 코어, 펜티엄 4 호환 버스 인터페이스, 개선된 명령 디코딩/발행 프런트 엔드, 향상된 분기 예측, SSE2 지원, 그리고 더 큰 캐시를 결합했다. 2차 캐시는 접근되는 부분만 켜는 방식으로 전력을 절약하며, 큰 캐시 크기는 성능 향상에도 기여했다.

SpeedStep 3 기술을 통해 클럭 주파수와 코어 전압을 동적으로 조절하여 전력을 절약한다. 1.6GHz 펜티엄 M은 600MHz, 800MHz, 1000MHz, 1200MHz, 1400MHz, 1600MHz로 클럭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펜티엄 M의 전력 요구 사항은 유휴 상태에서 5와트, 최대 부하 시 27와트이다.

인텔은 펜티엄 M을 모바일 제품으로만 판매했지만, AOpen, DFI, MSI와 같은 일부 마더보드 제조업체들은 펜티엄 M 호환 보드를 출시하기도 했다. ASUS는 Socket 478 펜티엄 4 프로세서용 마더보드에서 펜티엄 M을 사용할 수 있도록 어댑터를 개발했다. 펜티엄 M은 저전력 소비 덕분에 임베디드 시스템 제조업체에게도 인기가 있었다.

인텔 펜티엄 M 프로세서 제품군
2003–2006 로고2006–2008 로고노트북
코드명프로세스출시일
Banias
Dothan
(130 nm)
(90 nm)
2003년 3월
2004년 6월
인텔 펜티엄 M 프로세서 목록



펜티엄 M 프로세서는 코드명에 따라 바니아스(Banias)와 도선(Dothan)으로 나뉜다.

자세한 내용은 바니아스 및 도선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4. 1. 바니아스 (Banias)


바니아스(Banias)는 최초의 펜티엄 M 프로세서 암호명으로, 이스라엘에서 설계되었으며 골란고원의 고대 유적지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6] 130nm 공정 기술로 제조되었고, 900MHz에서 1.7GHz 클럭 주파수로 출시되었다. 400MT/s FSB와 1MB L2 캐시를 제공하며, 코어의 열 설계 전력(TDP)는 24.5와트이다.

바니아스는 티므나의 메모리 컨트롤러 설계를 기반으로 P6 마이크로아키텍처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7] 펜티엄 4와 마찬가지로 SSE2를 지원하며, 절전 기술로 확장판 인텔 스피드스텝 기술(EIST)를 지원하여 다단계 동작 전압 및 주파수로 작동 가능하다.

바니아스 제품군은 내부적으로 PAE를 지원하지만 CPUID 정보에서 PAE 지원 플래그를 표시하지 않아, 일부 운영 체제(주로 리눅스 배포판)에서 부팅이 거부될 수 있다.[8] 이 경우 'forcepae' 리눅스 부팅 옵션을 사용하면 PAE를 활성화하여 리눅스를 부팅할 수 있다. 윈도우 8 이상 버전도 동일한 이유로 부팅을 거부하며, 0xc0000260 (UNSUPPORTED_PROCESSOR) 오류가 발생한다.[9]

바니아스에는 프로세서 넘버 700번대가 부여되었다.

바니아스 표준 전압 버전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FSB2차 캐시EISTNX 비트소켓TDP(최저 주파수)
-1.30 GHz400MHz1MB×Socket47922W (-)
-1.40 GHz
7051.50 GHz24.5W (-)
-1.60 GHz
-1.70 GHz



바니아스 저전압 버전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FSB2차 캐시EISTNX 비트소켓TDP(최저 주파수)
-1.10 GHz400MHz1MB×Socket479-
-1.20 GHz-
7181.30 GHz12W (-)



바니아스 초저전압 버전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FSB2차 캐시EISTNX 비트소켓TDP(최저 주파수)
-0.90 GHz400MHz1MB×Socket479-
-1.00 GHz-
7131.10 GHz7W (-)


4. 2. 도선 (Dothan)

도선 프로세서는 원래 펜티엄 M과 동일한 설계를 유지하면서도 90nm 공정 기술로 생산되어 성능이 향상되었다. L2 캐시 크기는 2MB로 두 배 증가했으며, 다이 크기는 84mm², 트랜지스터 수는 약 1억 4천만 개이다. 열 설계 전력 (TDP)은 21W로 감소했고 클럭 속도는 소폭 증가했다.[10][11]

2004년 5월 10일에 출시된 도선 펜티엄 M 프로세서(제품 코드 80536, CPUID 0x6DX)는 "프로세서 번호"를 사용하여 식별되었으며, 초기 모델은 400MT/s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를 사용했다. 이 모델들은 펜티엄 M 710 (1.4 GHz), 715 (1.5 GHz), 725 (1.6 GHz), 735 (1.7 GHz), 745 (1.8 GHz), 755 (2.0 GHz), 765 (2.1 GHz) 등으로 구성되었다.[10][11]

2005년 1분기에는 533 MT/s FSB와 XD를 지원하는 개선된 도선 코어가 '''소노마''' 칩셋과 함께 출시되었다. 이 프로세서들은 730 (1.6 GHz), 740 (1.73 GHz), 750 (1.86 GHz), 760 (2.0 GHz), 770 (2.13 GHz), 780 (2.26 GHz) 등을 포함하며, TDP는 27W이다.

인텔은 저전압 버전(778 (1.60 GHz))과 초저전압 버전도 출시하여, 1.0 GHz에서 2.26 GHz까지 다양한 클럭 속도의 모델을 제공했다.

;Dothan 표준 전압 버전 (FSB 400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 (최저 주파수)
7151.50 GHz2MB○ (최저 600MHz)×Socket47921W (7.5W)
7251.60 GHz
725A
7351.70 GHz×
735A
7451.80 GHz×
745A
7552.00 GHz×
7652.10 GHz



;Dothan-533 표준 전압 버전 (FSB 533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 (최저 주파수)
7301.60 GHz2MB○ (최저 800MHz)Socket47927W (10.8W)
7401.73 GHz
7501.86 GHz
7602.00 GHz
7702.13 GHz
7802.26 GHz



;Dothan 저전압 버전 (FSB 400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 (최저 주파수)
7381.40 GHz2MB○ (최저 600MHz)×-10W (7.5W)
7581.50 GHz
7781.60 GHz



;Dothan 초저전압 버전 (FSB 400MHz)

프로세서 넘버동작 주파수2차 캐시EISTNX Bit소켓TDP (최저 주파수)
7231.00 GHz2MB○ (최저 600MHz)×-5W (3.0W)
7331.10 GHz
733J
7531.20 GHz
7731.30 GHz


5. 후속 제품군

펜티엄 M의 아키텍처는 이후 코어 브랜드의 코어 솔로 및 코어 듀오 프로세서로 이어졌다.[12] 이들은 요나 코어를 기반으로 하며, 2006년 1월 5일에 발표된 65nm 공정의 CPU로 모바일용으로는 처음으로 듀얼 코어를 채택하였다.

도선 기반의 초저전력 마이크로프로세서인 인텔 A100 시리즈는 90nm 공정으로 제작되었으며, 512KB L2 캐시와 400MT/s 프론트 사이드 버스(FSB)를 갖추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roduct Change Notification #106928–02 https://technodocbox[...] Intel 2006-12-27
[2] 웹사이트 A Look at Centrino's Core: The Pentium M https://arstechnica.[...] 2004-02-25
[3] 웹사이트 Intel's 90nm Pentium M 755: Dothan Investigated https://www.anandtec[...]
[4] 웹사이트 Intel's Centrino Duo Notebook Technology http://compreviews.a[...]
[5] 웹사이트 Intel Pentium M 740 PCSTATS Review - Benchmarks: Office Productivity, SiSoft Sandra 2005 http://www.pcstats.c[...]
[6] 웹사이트 Mooly Eden: A look into the origins of Core 2 Duo https://www.tomshard[...] 2006-09-20
[7] 웹사이트 Intel's Centrino CPU (Pentium-M): Revolutionizing the Mobile World https://www.anandtec[...]
[8] 웹사이트 PAE - Community Help Wiki https://help.ubuntu.[...]
[9] Youtube Can You Install Windows 10 on a Pentium II? https://youtube.com/[...]
[10] 웹사이트 Intel Outlines Plans For Wireless Notebook PCs, Cell Phones And Handhelds http://www.intel.com[...] Intel Corporation
[11] 뉴스 Intel launches Dothan with Pentium M price cuts https://www.theregis[...] The Register
[12] 논문 The Intel Pentium M Processor: Microarchitecture and Performance http://noggin.intel.[...] Intel Technology Journal 2003
[1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4]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